RemoteMonster Documents
HomepageBlogCommunityAbout Us
v2.x
v2.x
  • RemoteMonster
  • Overview
    • Flow
    • Structure
    • Examples
    • Features
    • Spec
  • Web
    • Web - Overview
    • Web - Getting Started
    • Web - Media
    • Web - Debug Inside
    • Web - Github
    • Web - SDK Reference
  • Android
    • Android - Overview
    • Android - Getting Started
    • Android - Media
    • Android - ProGuard
    • Android - Github
    • Android - SDK Reference
  • iOS
    • iOS - Overview
    • iOS - Getting Started
    • iOS - Media
    • iOS - Github
    • iOS - SDK Reference
  • api
    • Webhook API - Livecast - beta
    • Managing Channels
  • Common
    • Service Key
    • Config/RemonConfig
    • Livecast
    • Communication
    • Callbacks
    • Channel
    • Channel ID 규칙
    • Network Environment
    • Studio Environment
    • Media
    • Simulcast
    • Record - beta
    • Error
    • About WebRTC
    • FAQ
  • 그룹통화
    • 그룹통화 만들기(Android)
    • 그룹통화 만들기(iOS)
    • 그룹통화 만들기(Web)
  • 튜토리얼 - 통화
    • 통화 5 분 안에 시작하기
    • 통화 키 발급
    • 새 통화 프로젝트 설정 - Web
    • 단순 통화 앱 만들기 - Web
  • 튜토리얼 - 방송
    • 방송 5 분 안에 시작하기
    • 방송 키 발급
    • 새 방송 프로젝트 설정 - Web
    • 단순 시청 앱 만들기 - Web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기초
  • 주요 블로그 및 커뮤니티
  • 최신 트렌드 및 시장조사
  • 표준
  • 해외 사이트
  • 주요 라이브러리 및 개발 정보
  1. Common

About WebRTC

PreviousErrorNextFAQ

Last updated 5 years ago

기초

  • : Coiiee 대표 정유철님께서 작성하신 알기쉬운 WebRTC 자료

  • : WebRTC개발을 처음 시작할 때 개념을 잡기 좋습니다.

주요 블로그 및 커뮤니티

  • : 리모트몬스터가 운영하는 WebRTC 블로그

  • : 한국에서 가장 활발한 WebRTC 커뮤니티

최신 트렌드 및 시장조사

  • : 2016년 WebRTC의 트렌드를 정리한 문서

  • : 국내외 WebRTC 시장 동향 리포트

표준

  • : WebRTC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에서 native 엔진 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WebRTC 표준을 이끌고 있는 W3C의 페이지입니다.

  • : WebRTC의 통신 프로토콜이나 코덱등의 표준을 이끌고 있는 IETF의 페이지입니다.

해외 사이트

주요 라이브러리 및 개발 정보

: WebRTC 소스코드 저장소

: WebRTC를 코드로 따라하며 배우기

: 모질라에서 제공하는 WebRTC API 문서. 가장 정확하고 최신의 표준에 입각한 API를 확인할 수 있음.

: WebRTC에서 가장 유명한 블로거 Tsahi의 블로그

: WebRTC계의 가장 유명한 해커 Chad Hart가 운영하는 사이트. 그 외 Victor나 Philipp등도 같이 운영

: WebRTC의 최신 트렌드를 주단위로 받아볼 수 있음

: 표준화가 덜된 관계로 브라우저마다 API조금씩 다른 WebRTC. 그래서 adapter.js를 사용해야 그 호환성을 지킬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1.0이 지정되면서 필요성이 많이 감소하였고 더이상 유지 보수가 되지 않을 예정입니다.

WebRTC 시작하기
HTML5Rocks의 WebRTC가이드
RemoteMonster Blog
WebRTC 한국 커뮤니티
WebRTC의 현재와 미래
WebRTC 시장동향 리포트
WebRTC org
WebRTC 표준
IETF rtcweb WG
WebRTC github
CodeLab
모질라 WebRTC API doc
Bloggeek.me
WebRTCHacks
WebRTC Weekly
adapter.js